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정보/부동산

부동산 하락장 데이터 총정리 🏠

by 꾸준곰 2025. 5. 11.
반응형

2023~2025년, 서울과 수도권 중심의 흐름 정리

 

2023년부터 2025년까지 이어진 부동산 하락장은 많은 실수요자와 투자자들에게 긴장감을 안겼습니다. 특히 서울·수도권 지역은 거래절벽과 전세가 하락, 실거래가 조정이 동시에 나타나며 시장의 판도가 크게 흔들렸죠. 이 글에서는 3년간의 주요 부동산 지표 변화를 한눈에 정리하고, 앞으로의 흐름까지 함께 전망해보겠습니다.


반응형

1. 수도권 실거래가 하락 추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과 KB부동산 통계를 참고하여, 서울과 경기도의 평균 실거래가 지수를 연도별로 정리해봤습니다.

연도 서울 아파트 평균 실거래가 변동률 경기 아파트 변동률 비고
2023년 -14.2% -17.8% 전세 사기 이슈 및 금리 급등기
2024년 -6.4% -8.1% 금리 동결 + 매수심리 위축 지속
2025년 (1분기 기준) -1.3% -2.5% 급락세 진정, 매물 조정 중
 

🔎 참고: KB부동산 리브온·한국부동산원 실거래가 기준 평균치 인용
→ 하락세는 둔화되었으나, 실수요 유입은 여전히 제한적

 

2. 전세가율 하락과 전세 불안정

전세가율은 매매 대비 전세 비율을 의미하는데요, 이 지표가 낮아질수록 세입자 입장에선 불리한 구조입니다.

서울 평균 전세가율 변화

시점평균 전세가율특징
시점 평균 전세가율 특징
2022년 말 약 65% 역전세 우려 본격화 시작
2023년 말 약 58% 깡통전세 문제 터짐
2024년 말 약 60% 갭투자 위축, 신규전세 계약가 하락
 

📌 국토부 주택통계자료 인용
현재 전세가는 일부 회복세지만, 수도권 외곽은 여전히 약세

 

3. 거래량 '반토막' 현상

서울 아파트 월별 거래량은 팬데믹 이후 회복 조짐을 보였으나, 금리 인상기와 규제 병행으로 인해 2023~2024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 2023년 월평균 거래량: 2,500건
  • 2024년 월평균 거래량: 2,800건 (소폭 반등)
  • 2025년 1분기 평균: 3,200건 (재건축·신축 위주 거래 집중)

👉 특히 신축 단지, 학군지 위주로만 거래 회복되는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4. 요약: 부동산 하락장 3년 핵심 정리표 🧾

항목 2023년 2024년 2025년 1분기
실거래가 변동률 (서울) -14.2% -6.4% -1.3%
전세가율 58% 60% 61~63% 예상
거래량 (월평균) 2,500건 2,800건 3,200건
시장 분위기 급락기 조정기 진정+선별적 반등
 

 

5.앞으로의 전망은? 🔮

  • 📌 금리 인하 기대감은 있으나, 실수요 회복까지는 시간이 걸릴 전망입니다.
  • 정부의 규제 완화 기조가 재건축·신축 위주 회복세를 주도할 수 있으나, 노후 소형 아파트와 외곽 지역은 여전히 약세입니다.
  • 갭투자·전세금 레버리지 전략은 당분간 지양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마무리 📝

2023~2025년의 흐름을 보면, 급등장 후폭풍으로 인한 구조적 하락이 단순한 사이클 조정이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시장은 ‘급등→급락→조정’ 단계를 거친 후, 선별적 반등의 길목에 서 있습니다. 하지만 이럴 때일수록 실거주 목적의 분별력 있는 접근이 더욱 중요해요.

지금은 '사는 타이밍'이 아니라, '잘 고르는 타이밍'입니다.

 

📌 법적 고지:
본 글은 일반적인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특정 투자나 매수·매도 결정을 유도하지 않습니다. 실제 투자 및 부동산 거래는 전문가 상담을 통해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